티스토리

기계치와 함께하는 슬기로운 기계생활
검색하기

블로그 홈

기계치와 함께하는 슬기로운 기계생활

자동차 분야 크리에이터
3dplife.tistory.com/m

기계 기계제도 캐드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3D프린터 https://www.youtube.com/@mechalove77

구독자
319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널링의 종류 및 치수표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마 기계쪽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라고 하더라도 쉽게 이해를 하실 수 있는 널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널링이란? 널링(Knurling)이란 공구나 기계류 등에서 손가락으로 잡는 부분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가로 또는 경사지게 톱니 모양을 붙이는 공작법으로 프랑스어로 깔쭉깔쭉한 모양을 뜻합니다. 기계 가공 분야에서는 주로 원통 형상의 공작물의 외면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깔쭉깔쭉한 모양을 가리키며 일반적인 널링은 깔쭉깔쭉한 롤러가 달려 있는, 널링 툴이라고 불리는 전용의 공구를 공작물 위로 굴려서 그 깔쭉깔쭉한 무늬를 베끼는 방법을 씁니다. 최근에는 절삭 가공식의 널링 가공용 공구도 시판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널링을 작업하기 위해 사용되.. 공감수 16 댓글수 38 2020. 12. 16.
  • E형 멈춤링 규격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소 생소하실 수도 있는 멈춤링인데요. C형이 아닌 E형 멈춤링입니다. E형 멈춤링은 축이 긴 경우 또는 축방향으로 조립이 불가능한 구조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원주방향 접지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 외력이 작용할 경우 C형 보다 쉽게 빠질 수 있으니 주의 바랍니다. E형 멈춤링 규격 (KS B 1337 : 1985(2010 확인)) 단위 : mm 호칭 지름 0.8 1.2 1.5 2 2.5 3 4 멈 춤 링 d 기본 치수 0.8 1.2 1.5 2 2.5 3 4 허용차 0 -0.08 0 -0.09 0 -0.12 D 기본 치수 2 3 4 5 6 7 9 허용차 ±0.1 ±0.2 H 기본 치수 0.7 1 1.3 1.7 2.1 2.6 3.5 허용차 0 -0.25 0 -0... 공감수 14 댓글수 39 2020. 12. 15.
  • 구멍용 C형 멈춤링의 규격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시간 축용 C형멈춤링 포스팅에 이어서 구멍용 C형 멈춤링 규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멍용 C형 멈춤링 규격(KS B 1336 : 1980(2010확인)) 단위 : mm 호 칭 1 10 11 12 - 14 - 16 2 - - - 13 - 15 - 3 - - - - - - - 멈 춤 링 d3 기준치수 10.7 11.8 13 14.1 15.1 16.2 17.3 허용차 ±0.18 t 기준치수 1 허용차 ±0.05 b 약 1.8 1.8 1.8 1.8 2 2 2 a 약 3.1 3.2 3.3 3.5 3.6 3.6 3.7 d0 최소 1.2 1.5 1.7 적용 하는 축 (참고) d5 3 4 5 6 7 8 8 d1 10 11 12 13 14 15 16 d2 기준치.. 공감수 8 댓글수 18 2020. 12. 14.
  • 축용 C형 멈춤링의 개요 및 규격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무에서 정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축용 멈춤링(스냅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멈춤링의 개요 축이나 구멍에 부착하여 베어링 등의 부품이 빠지지 않도록 사용하는 스프링 부품으로 스냅링 혹은 리테이닝링(retaining ring)이라고도 하며, 축이나 보스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기계요소이다. 축에 링홈을 내서 사용하는 외접링과 보스에 링홈을 가공하여 사용하는 내접링이 있습니다. 멈춤링은 비교적 작은 장소에 부착할 수 있어 기기의 소형화나 간략화에 도움이 됩니다. 멈춤링을 축에 조립할 때 필요한 플라이어는 전용 도구를 사용하며 축용 멈춤링을 조립할 때는 벌림용 플라이어를 사용하며 플라이어의 생긴 모양과 사용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축용 C형 멈춤링의 규.. 공감수 7 댓글수 11 2020. 12. 11.
  • 스플라인의 개요 및 규격(스플라인의 면압 강도 / 스플라인 재질 및 열처리 / 각형 스플라인 너비 및 공차)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축에 키를 직접 가공한 모양인 스플라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플라인의 개요 스플라인(spline)이란 축에 직접 여러 줄의 키(key)를 절삭 가공하여, 축과 보스(boss)가 슬립(slip)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제작한 것으로 주용도로는 큰 동력 전달용, 종류로는 키홈의 모양에 따라 각형 스플라인과 인벌류트 스플라인(involute spline)으로 구분합니다. 스플라인의 줄수는 6, 8, 10이 보통이며 스플라인은 보통형 평행키에 비하여 큰 동력(토크)을 전달할 수가 있으며, 스플라인 축은 키홈의 역할뿐만 아니라 축의 역할도 합니다. 각형 스플라인의 호칭은 [스플라인의 홈수N x 작은지름d x 큰지름D]의 형태로 표기합니다. 아래 표 원통형 축의.. 공감수 4 댓글수 0 2020. 12. 10.
  • 고정 녹의 개요 및 규격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축과 보스의 고정을 위해 사용하는 핀의 일종인 고정 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치공구의 손잡이 부분이나 키의 대용으로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부품인데 정확한 용어에 대해 모르셨던 분들은 이번 기회로 알아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자격증 시험에서는 자주 출제되지 않아 부품의 명칭 및 관심이 없는 부품이 될 수도 있지만 간단한 치공구를 설계하는 분야에서 축과 손잡이간의 결합을 위해 간혹 사용하는 부분이니 잘 알아두시면 좋은 정보가 될 것 같습니다. 고정 녹의 개요 고정 녹(knock)은 축과 보스를 끼워맞춤한 후에 핀 구멍을 가공하여 축과 보스를 평행핀이나 테이퍼핀을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사용법이 간단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비교적.. 공감수 6 댓글수 11 2020. 12. 9.
  • 키플레이트(key plate)의 규격 및 개요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키플레이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키플레이트(key plate)의 개요 키플레이트(key plate)는 본체나 하우징 등에 축을 설치하고 나서 축의 회전 방지나 축이 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축에 밀링커터로 일정 깊이로 홈 가공을 실시하고 그 홈에 직사각형 모양의 얇은 플레이트(plate)를 끼우고 본체나 하우징 등에 볼트로 조립하는 축 관계 요소입니다. 키플레이트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열처리를 하지 않으며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2종 SS400 정도의 재질이면 무난합니다. KS 규격은 현재 미제정되어 있으며 아래 규격은 현장 마춤용이므로 참고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키플레이트(key plate) 규격 단위 : mm 1.. 공감수 3 댓글수 7 2020. 12. 8.
  • 접선키(tangential key)의 규격과 개요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접선키의 규격과 개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키의 종류가 다양하므로 앞으로도 2~3개의 키에 대해 더 알아볼 예정입니다. 접선키의 개요 접선키(tangential key)는 축과 보스에 접선 방향으로 삼각형 모양의 키 홈을 가공해서 양쪽 홈을 합하여 직사각형 모양이 되게 합니다. 다시 말해 기울기가 1/100인 2조의 키(1조에 2개의 키)를 축에 원주방향으로 만든 키 홈에 때려 박으면 그 단면은 직사각형이 되어 성크키보다 축의 강도를 덜 저하시키면서 보다 큰 회전력을 전달하며, 회전방향의 변화에도 요동이 없고 회전 방향이 양쪽 방향인 경우에는 중심각이 120˚가 되는 위치에 두 쌍을 설치합니다. 접선키의 규격 (KS 미제정 DIN 268,271) 단위.. 공감수 5 댓글수 4 2020. 12. 7.
  • 반달키의 개요 및 규격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달키(woodruff key)의 개요 및 KS규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달키의 개요 반달키(woodruff key)는 축에 반달 모양의 홈가공을 하여 반달 모양의 키를 끼워맞춥니다. 키 홈의 가공은 밀링에서 하며 반달키 및 키 홈은 A종 둥근 바닥과 B종 납작바닥으로 구분하며 둥근바닥의 반달키(woodruff key)는 기호로 WA, 납작바닥의 반달키는 기호 WB로 표기하고 키는 홈 속에서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어 키가 자동적으로 축과 보스에 조정됩니다. 테이퍼가 진 축에서 테이퍼가 진 내경을 갖는 동력잔달용 자동적으로 결합하는데 편리하게 사용됩니다. 반달키의 둥근 바닥은 선반에 의한 절삭 가공, 납작 바닥은 프레스에 의한 블랭킹 가공 등에 의해 제작.. 공감수 17 댓글수 42 2020. 12. 3.
  • 경사키의 규격 및 공차 적용 예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사키 또는 구배키의 규격과 공차 적용 예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사키의 적용 경사키(Taper key)는 테이퍼키 혹인 구배키라고도 합니다. 경사키와 축, 경사키와 보스는 폭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경사키는 축과 보스에 모두 헐거운 끼워맞춤을 적용합니다. 키의 폭 b는 축부분 키홈의 폭 b1보다 작고, 보스 부분 키홈의 폭 b2보다도 작습니다. 즉, 경사키의 폭 방향 끼워맞춤에서 축부분 키홈과 키사이의 결합을 D10/h9(헐거운 끼워맞춤)로 적용합니다. 경사키(테이퍼키)의 키홈의 모양과 치수 [KS B 1311:1999] 단위 : mm 키의 호칭 치수 (bxh) 키홈의 치수 참고 b1(축) 및 b2(구멍) r1 및 r2 t1기준치수 t2기준치수 t1,t2.. 공감수 11 댓글수 34 2020. 12. 2.
  • 평행키의 키홈의 모양과 치수 규격 (평행키 공차 적용 / 평행키 호칭방법)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평행키의 키홈의 모양과 치수의 규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평행키 설계 시 참고하셔서 제도하시기 바랍니다. 평행키의 키홈의 모양 키홈의 치수 규격 단위 : mm 참고 키의 호칭 치수 bxh b1, b2 기준 치수 키홈의 치수와 허용차 적용하는 축지름 d (초과~ 이하) 활동형 보통형 조립형 r1,r2 축 구멍 t1,t2 허용차 b1 b2 b1 b2 b1,b2 t1 기준 치수 t2 기준 치수 축 구멍 축 구멍 허용차 (H9) 허용차 (D10) 허용차 (N9) 허용차 (Js9) 허용차 (P9) 6~8 2x2 2 +0.025 0 +0.06 +0.02 +0.004 +0.029 ± 0.0125 -0.006 -0.031 0.08 ~ 0.16 1.2 1 +0.1 0 8~.. 공감수 15 댓글수 39 2020. 12. 1.
  • 평행키의 끼워맞춤에 대해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키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평행키의 끼워맞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형" 키의 끼워맞춤(구 규격 - 묻힘키의 "보통급") 보통형은 축에 가공된 키 홈과 조립하는 키와의 끼워맞춤을 N9/h9(중간 끼워맞춤)로 적용하고, 보스 부분의 키 홈과 키와의 끼워맞춤을 Js9/h9(중간 끼워맞춤)로 적용합니다. 보통형에서는 키의 폭방향(호칭:b)으로 축과 키 및 축과 보스의 끼워맞춤을 중간 끼워맞춤으로 적용하는데 보스 측보다 축 측에 더 작은 끼워맞춤 틈새(또는 더 큰 끼워맞춤 죔새)를 줍니다. 보통형 평행키는 개정 전 구 규격에서 "묻힘키"의 보통급 평행키를 말합니다. "조임형" 키의 끼워맞춤(구 규격 - 묻힘키의 "정밀급") 조임형은 축에 가공된 .. 공감수 16 댓글수 49 2020. 11. 30.
  • 키의 개요 및 종류 (평행키 / 반달키 / 평키 / 안장키 / 접선키 / 둥근키 / 원뿔키)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축과 연결되는 부품과 같이 회전을 하기 위해 필수로 장착해야하는 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 2~3회 정도 키와 관련된 포스팅이 이어질 예정이니 키에대해 궁금하셨던 분들은 계속 방문해주세요. 키의 개요 및 종류 키(key)는 축(shaft)에 풀리(pulley), 기어(gear), 플라이휠(fly wheel), 커플링(coupling), 클러치(clutch) 등의 회전체를 고정시켜서 토크를 전달하는 경우, 축과 회전체가 미끄럼 없이 회전운동을 전달시키는데 많이 사용되는 기계요소 중의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축과 회전체의 보스(boss) 양쪽에 키 홈을 파서 키를 때려 박아 고정시키는 결합용과 보스를 축에 고정시키지 않고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공감수 12 댓글수 31 2020. 11. 27.
  • 축 설계 계산 공식 정리 (동하중을 받는 직선축의 강도 / 직선축의 비틀림 강성도 / 축의 재료와 용도 정리)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일단 오늘은 기쁜날이네요~ 바로 애드센스 핀번호가 도착을 했답니다. 신청하고 8주만에 도착한것 같네요. 너무나도 오래걸려 한 번 더 신청했는데 알아보니까 핀번호는 똑같아서 먼저온 것을 입력하면 된다고 하더라구요. 이제 발뻗고 잘 수 있을 것 같네요. 여러분들도 혹시나 기다리시는 분들께서는 그냥 기다리면 오는게 답이니 그냥 기다리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번에 늦은 이유가 코로나에다가 미국 대선때문에 늦어졌다는 이야기도 있더라구요. 그럼 포스팅으로 넘어가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동하중을 받는 직선축의 강도 및 직선축의 비틀림 강성도에 따른 축 설계 공식을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혀 관련없는 분야에 계시는 이웃님들이 방문해주시고 응원의 댓글을 주셔서 진심으로 .. 공감수 16 댓글수 44 2020. 11. 26.
  • 축 설계 계산 공식 정리 (정하중을 받는 직선축의 강도)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축 설계시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는 계산 공식들을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공식을 외우는 것도 좋지만 방대한 양이므로 그때그때 찾아 보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러 하중 중에서 정하중을 바대는 직선축의 강도 계산식에 대해 정리하고 다음 포스팅에서는 동하중 및 직선축의 비틀림 강성도에 따른 축설계 계산식을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요즘들어 제 포스팅이 방문해주시는 이웃님들에게 공감대가 형성이 안되어 죄송한 마음도 들고 한 편으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문해주셔서 응원의 댓글과 좋은 말씀을 주셔서 더욱 힘이 나기도 합니다. 주말에는 최대한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는 여행이나 영화관련해서 포스팅해 이웃님들과의 소통이 끊기지 않도록 노력하는 .. 공감수 15 댓글수 52 2020. 11. 25.
  • 원통 축끝의 치수표 규격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원통 축 끝부분의 치수관련 규격을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단이 있는 경우와 묻힘 키를 사용하는 경우등 축의 끝 부분의 치수 설계관련 막연하게 작업하시기 보단 규격에 맞게 설계하신다면 보다 좋은 작품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럼 원통 축끝의 치수표 규격에 대해 알아볼까요? 적용 범위 및 인용규격 이 규격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동용 회전축의 (이하 축끝이라 합니다.)중 끼워맞춤부가 원통형이고, 그 지름이 6mm에서 630mm까지인 것의 주요 치수에 대하여 규정합니다. ◈ 인용규격 KS B 0403(절삭 가공품의 둥글기 및 모떼기) KS B 1311(묻힘 키 및 키 홈) KS B ISO 2768-1(개별 공차 표시가 없는 선형 치수 및 각도 치수에 대한 .. 공감수 15 댓글수 37 2020. 11. 24.
  • 공구의 생크 4각부 규격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명 자루라고도 하는 생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생크라는 용어가 생소하신 분들도 계실텐데요. 쉽게 설명드려서 핸들(손잡이)를 이용해 둥근 형체를 돌리기 위해 원형물체를 곡면이 아닌 평면으로 4군데를 만드는 작업을 말합니다. 그러면 공구의 생크의 정의와 규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생크의 정의 공구를 공작기계에 결합시키는 자루 부분으로 자루라고도 합니다. 선반 가공에 사용되는 바이트에서는 바이트를 공구대에 고정시키는 4각 부분, 드릴에서는 드릴척 등에 고정되는 부분, 드롭 해머에서는 금형을 램에 장착하기 위한 돌기물을 말합니다. 바이트의 생크 치수는 4각 부분의 1변의 길이로 나타내게 되는데, 비교적 작은 것은 10×10, 흔히 사.. 공감수 9 댓글수 34 2020. 11. 23.
  • 축 센터구멍 규격 및 도시방법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축 설계시 필요한 규격 중 하나인 센터 구멍 규격에 대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센터 구멍이란? 선반 가공 시 공작물의 끝을 센터로 지지하기 위한 구멍으로 센터 구멍은 센터링 머신을 사용하여 센터 드릴로 가공합니다. 센터 구멍 제 1종 60 센터 구멍 (KS B 0410:2005) 단위:mm 호칭지름 d D D1 D2 (최소) l (최대) b (약) 참고 l1 l2 l3 t a (0.5) 1.06 1.6 1.6 1 0.2 0.48 0.64 0.68 0.5 0.16 (0.63) 1.32 2 2 1.2 0.3 0.6 0.8 0.9 0.6 0.2 (0.8) 1.7 2.5 2.5 1.5 0.3 0.78 1.01 1.08 0.7 0.23 1 2.12 3.15 3... 공감수 5 댓글수 19 2020. 11. 20.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