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 빛나는 황금색이 주는 매력은 누구나 한번쯤 느껴봤을 거예요. 하지만 진짜 금인지 도금된 금인지 궁금할 때가 있죠? 특히 중고로 금을 구매하거나 선물 받은 금의 순도가 궁금할 때 더욱 그렇습니다. 오늘은 기계공학도의 시선으로 순금과 도금을 쉽게 구별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왜 순금과 도금을 구별해야 할까요?
순금은 가치가 높은 귀금속이지만, 순수한 금은 너무 부드러워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다른 금속과 합금하여 딱딱하게 만들거나, 금을 얇게 입히는 도금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금을 구매하거나 판매할 때는 반드시 순도를 확인해야 합니다.
순금과 도금, 어떻게 다를까요?
- 무게: 순금은 같은 부피의 다른 금속보다 훨씬 무겁습니다. 손에 들었을 때 묵직한 느낌이 든다면 순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색상: 순금은 빛깔이 균일하고 깊이 있는 황금색을 띠며, 도금은 시간이 지날수록 벗겨지면서 아래 금속의 색이 드러날 수 있습니다.
- 경도: 순금은 매우 부드러워 칼로 긁으면 자국이 남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도금은 밑에 다른 금속이 있어 상대적으로 단단합니다.
- 소리: 순금은 특유의 청명하고 높은 울림 소리를 냅니다. 도금은 탁하고 낮은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 자석: 순금은 자성을 띠지 않지만, 일부 도금된 금은 자석에 약하게 달라붙을 수 있습니다.
순금 판별 방법
- 밀도 측정: 가장 정확한 방법은 물에 넣어 부피를 측정하고 무게를 잰 후 밀도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순금의 밀도는 19.3g/cm³로 거의 일정합니다.
- 눈으로 확인: 돋보기 등으로 표면을 자세히 관찰하여 흠집이나 색상 변화를 확인하고, 이음새 부분을 살펴보아 도금이 벗겨진 부분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소리 듣기: 금을 다른 물체에 부딪혀 소리를 들어봅니다. 순금은 청명하고 높은 소리를 냅니다.
- 자석 테스트: 자석에 가까이 대어보아 붙는지 확인합니다. 하지만 모든 도금된 금이 자석에 붙는 것은 아니므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야 합니다.
- 전문가에게 의뢰: 정확한 판별을 위해서는 보석 감정사에게 의뢰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주의사항
- 도금된 금: 도금된 금은 순금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도금이 벗겨져 금의 가치가 떨어집니다.
- 위조품: 시중에는 순금처럼 보이지만 다른 금속으로 만든 위조품도 존재합니다.
- 합금: 순금은 너무 부드러워 다른 금속과 합금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합금의 비율에 따라 순도가 달라지므로, 구매 시 순도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결론
순금과 도금을 구별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면 더욱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정확한 방법은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것입니다. 금을 구매하거나 판매할 때는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현명한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 글
728x90
반응형
'슬기로운 기계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구설계란 무엇일까요?: 우리 주변의 모든 것, 그 시작은 설계부터! (1) | 2024.12.03 |
---|---|
금형설계와 기구설계,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0) | 2024.12.02 |
스마트폰 배터리, 100% 충전은 금물? 그 이유를 파헤쳐 보자! (0) | 2024.11.28 |
빌트업엣지(Built-up Edge)가 발생하는 이유를 쉽게 알아보자! (0) | 2024.11.27 |
너트가 스스로 풀리는 이유: 견고하게 조여도 풀리는 이유는? (0)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