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스프링의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코일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하중이 걸리지 않은 상태로 그린다.
② 코일 스프링에서 특별한 단서가 없으면 오른쪽으로 감은 스프링을 의미한다.
③ 코일 스프링에서 양끝을 제외한 동일 모양 부분의 일부를 생략할 때는 생략하는 부분의 선지름의 중심선을 가는 1점쇄선으로 나타낸다.
④ 스프링의 종류와 모양만을 간략도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스프링 재료의 중심선만을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스프링을 제도할 때 스프링의 종류와 모양만을 간략도로 나타내는 경우 재료의 중심선만을 굵은 실선으로 그립니다.
47. 나사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측면에서 본 그림 및 단면도에서 나사산의 봉우리는 굵은 실선으로 골 밑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② 나사의 끝면에서 본 그림에서 나사의 골 밑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 원주의 3/4에 가까운 원의 일부로 나타낸다.
③ 숨겨진 나사를 표시할 때는 나사산의 봉우리는 굵은 파선, 골 밑은 가는 파선으로 그린다.
④ 나사부의 길이 경계는 보이는 경우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나사를 제도할 때 숨겨진 나사를 표시할 때는 나사산의 봉우리는 가는 파선으로, 골 밑은 보통의 파선으로 그립니다.
48. 스프로킷 휠의 도시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축 방향으로 볼 때 바깥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② 축 방향으로 볼 때 피치원은 가는 1점쇄선으로 그린다.
③ 축 방향으로 볼 때 이뿌리원은 가는 2점쇄선으로 그린다.
④ 축에 직각인 방향에서 본 그림을 단면으로 도시할 때에는 이뿌리의 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스프로킷 휠을 축 방향에서 볼 때는 가는 실선이나 굵은 파선으로 그릴 수 있습니다. 단, 축 직각 방향으로 단면을 표시할 때는 굵은 실선으로 그려야 합니다.
49. 그림과 같은 용접부의 용접 지시기호로 옳은 것은?
용접부는 심 용접입니다. 심용접이란 원판상의 롤러 전극 사이에 용접할 2장의 판을 두고, 전기와 압력을 기하며 전극을 회전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점 용접을 반복하는 용접법입니다. 그러므로 1번이 정답입니다.
50. 구름베어링의 호칭이 "6203ZZ"인 베어링의 안지름은 몇 mm인가?
① 3
② 15
③ 17
④ 30
베어링 호칭번호 6203에서 베어링의 안지름번호가 03이면 17mm가 됩니다.
51. 다음은 어떤 밸브에 대한 도시 기호인가?
① 글로브 밸브
② 앵글 밸브
③ 체크 밸브
④ 게이트 밸브
해당 그림은 앵글 밸브입니다.
52. 축의 도시방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모따기는 실이 치수와 각도로 나타낼 수 있다.
② 축은 주로 길이 방향으로 단면도시를 한다.
③ 긴 축은 중간을 파단하여 짧게 그릴 수 있다.
④ 45˚ 모따기의 경우 C로 그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축은 길이 방향으로 단면도시하지 않습니다.
53. 일반적으로 키의 호칭방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키의 종류
② 길이
③ 인장강도
④ 호칭치수
일반적으로 키를 호칭할 때 인장강도는 나타내지 않습니다.
54. 나사 표시 기호 중 틀린 것은?
① M :미터 가는 나사
② R : 관용 테이퍼 암나사
③ E : 전구 나사
④ G : 관용 평행 나사
R은 ISO규격에 있는 관용 테이퍼 수나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55. 스퍼기어 제도 시 축 방향에서 본 그림에서 이골원은 어느 선으로 나타내는가?
① 가는 실선
② 가는 파선
③ 가는 1점쇄선
④ 가는 2점쇄선
스퍼기어를 제도할 때 이골원은 가는 실선으로 그립니다.
56. 모듈이 2, 잇수가 30인 표준 스포기어의 이끝원의 지름은 몇 mm인가?
① 56
② 60
③ 64
④ 68
이끝원 지름 = 2m + PCD = 2 x 2 + (2 x 30) = 64mm
57. CAD시스템에서 원점이 아닌 주어진 시작점을 기준으로 하여 그 점과의 거리로 좌표를 나타내는 방식은?
① 절대좌표방식
② 상대좌표방식
③ 직교좌표방식
④ 극좌표방식
상대좌표계는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그 점과의 거리를 좌표로 사용하는 좌표계입니다.
58. CAD 작업 시 모델링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3차원 모델링에는 와이어프레임, 서피스, 솔리드 모델링이 있다.
② 자동적인 체적 계산을 위해서는 솔리드 모델링보다는 서피스 모델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③ 솔리드 모델링은 와이어프레임, 서피스 모델링에 비해 높은 데이터처리 능력이 필요하다.
④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의 경우 디스플레이된 방향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해석이 나올 수 있다.
CAD작업 시 체적 계산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계산할 때는 솔리드 모델링을 사용합니다.
59. 다음 중 CAD시스템의 출력장치가 아닌 것은?
① Plotter
② Printer
③ Keyboard
④ TFT-LCD
키보드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입력장치에 속합니다.
60. 컴퓨터에서 CPU와 주기억장치 간의 제이터 접근 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속 기억장치는?
① Cache Memory
② Associative Memory
③ Destructive Memory
④ Nonvolatile Memory
Cache Memory란 주기억장치와 CPU 사이에서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데이터와 명령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고속 기억장치로 자료처리 시 병목현상을 방지합니다.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문제풀이 > 2016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풀이 2016년 2회 기출문제 (31번 ~ 45번) (0) | 2021.09.17 |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풀이 2016년 2회 기출문제 (16번 ~ 30번) (2) | 2021.09.16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풀이 2016년 1회 기출문제 (31번 ~ 45번) (3) | 2021.09.05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풀이 2016년 1회 기출문제 (16번 ~ 30번) (0) | 2021.09.04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풀이 2016년 1회 기출문제 (1번 ~ 15번) (0) | 2021.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