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금 설계를 시작하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용어들! 이 글에서는 판금 설계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 Top5를 실무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설계 실수 방지와 가공 최적화를 위한 필수 정보들을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판금(sheet metal)은 가볍고 강도가 높아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며, 기계 설계에서도 빠질 수 없는 재료 중 하나예요. 하지만 초보 설계자라면 자칫 놓치기 쉬운 개념과 용어들이 많죠. 오늘은 판금 설계를 할 때 꼭 알아야 할 핵심 용어 다섯 가지를 소개할게요. 실무에서 자주 등장하고, 설계 품질과 생산성을 크게 좌우하는 개념들이니 꼭 기억해 두세요!
판금 설계할 때 꼭 알아야 할 용어 Top5
1. 📏 Bend Radius (굽힘 반경)
굽힘 반경은 판금을 접을 때 형성되는 곡선의 중심선과 내면 사이의 거리예요. 이 반경이 너무 작으면 소재가 균열되거나 찢어질 수 있어요.
- 표준 기준: 보통 재료 두께의 1~3배 수준을 기본으로 설정해요.
- 재료별 유의점: 알루미늄은 굽힘 반경이 커야 하고, 연강은 작아도 괜찮아요.
💡 Tip: CAD에서 굽힘 반경을 과도하게 작게 설정하면 가공 오류나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니 실제 가공성과 재료 특성을 함께 고려해 주세요.
2. 📐 K-Factor (케이 팩터)
K-Factor는 굽힘 시 재료 내에서 중립축이 차지하는 위치를 수치로 나타낸 값이에요. 판금이 굽혀질 때 재료는 내부는 압축되고 외부는 인장되는데, 이 중립 위치를 알면 펼친 길이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어요.
- 일반적인 값: 0.3~0.5 사이가 많고, 굽힘 각도 및 재질에 따라 달라져요.
- 활용처: 펼친 도면(flat pattern) 길이 계산 시 필수 요소예요.
📐 K-Factor는 설계 자동화와 CAM 작업의 정확도에도 큰 영향을 미친답니다.
3. 🧾 Bend Allowance (굽힘 여유)
판금이 접히면 그 부분은 길이가 증가하거나 감소해요. 이때 계산되는 여유 길이가 바로 Bend Allowance예요. 실제 절단 길이를 계산할 때 꼭 고려해야 해요.
- 계산 공식: 재료 두께, 굽힘 반경, 굽힘 각도를 기반으로 산출돼요.
- 실무 적용: 도면에서 펼침선을 그릴 때 이 값을 반영하지 않으면 조립 시 맞지 않게 돼요.
🛠️ CAD 툴에서는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경우도 많지만, 수작업 설계 시에는 반드시 확인해야 해요.
4. ✂️ Relief (릴리프)
판금을 90도 이상으로 접을 때, 접히는 모서리 끝이 찢어지지 않도록 빈 공간을 만들어주는 게 릴리프예요. 대부분 '노치(notch)' 형태로 처리하죠.
- 유형: Corner Relief, Tear Relief 등 다양한 형태가 있어요.
- 적용 예: 브라켓, 하우징 등 접힘이 많은 부품에서 필수예요.
💡 CAD에서 자동 적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규격과 공정에 맞게 조정해야 해요.
5. 📄 Flat Pattern (펼침 도면)
판금 부품의 모든 굽힘 전 상태를 평면상에 표현한 도면이에요. 절단·가공·펀칭 순서를 설계하는 데 기준이 되며, CAM과 제조 공정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어요.
- 중요 요소: 굽힘 반경, Bend Allowance, K-Factor 등과 연동돼야 해요.
- 활용 예: 절단 레이저, 프레스 브레이크 작업을 위한 기본 자료예요.
📊 펼침 도면이 정확해야 가공과 조립에서 오류가 없어요!
✅ 정리: 판금 설계 핵심 용어 요약표
용어 | 의미 | 실무 팁 |
Bend Radius | 판금 접힘 곡선의 반경 | 재료별 최소 반경 준수 필요 |
K-Factor | 중립축 위치 비율 | 펼친 길이 계산에 필수 |
Bend Allowance | 접힘 길이 보정값 | 도면 정확도 향상 |
Relief | 찢김 방지를 위한 빈 공간 | 모서리 크랙 방지 |
Flat Pattern | 굽힘 전 상태의 평면 도면 | CAM 연동용 기준 도면 |
🧭 마무리하며
판금 설계를 처음 접하거나, 더 정밀한 설계를 원하신다면 위 5가지 용어는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가야 해요. 특히 K-Factor와 Bend Allowance는 도면의 정밀도에 직결되기 때문에 실무자라면 반복해서 계산해보면서 익히는 게 좋아요. 앞으로의 설계가 훨씬 더 스마트해질 거예요!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 글
판금 가공은 래피드 프로토타이핑에 어떻게 적용될까?
판금 가공은 금속판을 절단, 굽힘 및 성형하여 금속 구조 및 구성 요소를 만드는 과정으로 강철, 알루미늄, 황동, 구리 또는 티타늄은 금속 시트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금속입니다. 결과 판
3dplife.tistory.com
'슬기로운 기계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K-Factor: 판금 설계의 정확도를 좌우하는 핵심 지표 (1) | 2025.04.18 |
---|---|
타타늄 합금 조합: 기계 설계자를 위한 최고의 성능 조합 (1) | 2025.04.14 |
스테인레스 연마: 녹슬지 않고 빛나는 강철의 비밀! (0) | 2025.04.07 |
기계설비 설계: 기본 개념과 중요성 (2) | 2025.03.31 |
판금 설계: 전개도와 연신율이 중요한 이유 (2)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