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치와 함께하는 슬기로운 기계생활 1729

캠 기구의 정의 및 종류

기계요소 설계 핵심요약 - 캠 기구 캠 기구 캠 기구의 정의 다양한 형태를 가진 면 또는 홈에 의하여 회전운동 또는 왕복 운동을 함으로써 주기적인 운동을 발생하는 기구를 말하며 내연기관의 밸브 개폐장치 등에 이용된다. 캠 기구는 원동절(캠), 종동절, 고정절로 구성된다. 캠 기구의 종류 분 류 종류 및 형상 평면 캠 판 캠 정면 캠 - 가장자리가 굽은 판 모양의 캠이다. - 캠을 회전시키면 접촉자는 주기적인 운동을 한다. - 자동차의 밸브기구, 점화장치의 배전기 캠에 사용되고 있다. - 확동(確動) 캠의 일종으로서 판(板) 캠의 윤곽에 해당하는 곡선을 중심선으로 하는 홈을 회전판의 정면에 내고, 이곳에 종동절(從動節)의 롤러를 끼워 필요로 하는 운동을 확실하게 시키는 캠이다. 직선운 캠 삼각 캠 - 원동..

BLOCK과 WBLOCK - 블록 생성

오토캐드 배우기 - BLOCK & WBLOCK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명령어는 BLOCK과 WBLOCK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토캐드에서 블록 기능은 설계를 해왔던 저로써는 정말 중요한 기능 중에 하나로 꼽을 수 있을 정도로 자주 사용을 했었습니다. 그럼 블록의 개념부터 잡고 넘어가야겠죠? 블록이란? 오토캐드 사용자가 도면을 작업하는 도중 필요한 부품이나 객체를 미리 저장해 놓은 위치에서 가져올 수 있도록 객체를 묶어 놓는 기능입니다. 쉽게 설명해서 기계를 하시는 분들은 모터나 실린더 등 기성품을 그린다는 건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생각하시겠죠. 대부분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캐드파일을 제공하고 있으니 다운로드하여 불러오거나 또는 CADMAS라는 프로그램을 구매해서 사용..

V벨트와 체인 전동장치

기계요소 설계 핵심요약 - V벨트 전동장치 V-벨트 전동장치 V-벨트 전동장치의 정의 - 모터에서 발생한 동력을 일을 하는 기구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동력 전달장치라고 하며 V벨트 전동장치는 벨트를 풀리의 홈에 끼워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V-벨트 전동장치의 특징 - 고속운전이 가능하다. - 벨트를 쉽게 끼울 수 있다. - 속도는 10~15m/s로 한다. - 미끄럼이 적고 속도비가 크다. - 전동 효율은 90~95% 정도이다. - 이음매가 없어 운전이 정숙하다. - 평 벨트보다 잘 벗겨지지 않는다. - 축간 거리 5m 이하에서 사용한다. - 바로걸기로만 동력 전달이 가능하다. - 지름이 작은 풀리에도 사용할 수 있다. - 속도비는 모터와 기구의 비를 1:7로 한다. - 장력 조절장치로 벨트의 장력을..

SCALE - 객체 확대 및 축소

오토캐드 배우기 - SCALE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명령어는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기능인 축척(SCALE)입니다. 때론 생성된 객체를 1/2로 축소해야 한다든지 아니면 2배 확대를 한다는지의 경우가 많으실 겁니다. 이럴 때마다 객체를 다시 그린 다는 건 정말 비효율적입니다. 그래서 오토캐드에서도 그런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SCALE이라는 명령어를 만들었지요~^^ 사용방법은 상당히 간단하고 게다가 예전 포스팅에서 배웠던 ROTATE와 사용방법이 똑같습니다. 아마도 객체 회전(ROTATE)을 확실하게 이해하신 분이라면 축척(SCALE)은 정말 쉽게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그럼 축척(SCAL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명령어 축척 = SCALE [단축키 ..

베어링의 정의 와 종류 및 특성

기계요소 설계 핵심요약 - 베어링 베어링 베어링의 정의 - 회전하고 있는 기계의 축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동력 전달을 위해 회전운동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는 기계요소이다. 주요 베어링의 종류 깊은 홈 볼 베어링 앵귤러 볼 베어링 스러스트 볼 베어링 구름 베어링 구름 베어링의 정의 - 롤링 베어링이라고도 하며 축과 베어링 사이에 볼이나 롤러를 넣어서 이 회전체들의 구름마찰을 이용한 베어링이다. - 진동이나 충격에 약하나 전동체가 있으므로 고속회전에 적합하다. 구름 베어링의 구조 - 구름 베어링은 외륜, 내륜, 롤러나 볼을 고정시켜주는 리테이너로 구성된다. 미끄럼 베어링과 구름 베어링의 특징 미끄럼 베어링 - 가격이 싸다 - 마찰 저항이 크다. - 진동과 소음이..

PEDIT - 폴리선 수정

오토캐드 배우기 - PEDIT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명령어는 지난 포스팅에서 다뤘던 폴리선(PLINE)을 수정할 수 있는 명령어인 폴리선 수정(PEDIT)입니다. 폴리선 수정(PEDIT)은 많은 기능들이 메뉴에 있지만 실상 메뉴에서 두 개만 사용을 많이 합니다.(어디까지나 제 경험상...) 두 가지 기능에는 기존의 폴리선의 두께를 수정할 수 있는 기능과 일반 선을 폴리 선으로 변경하는 기능입니다. 그럼 이 두 가지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명령어 폴리선 수정 = PEDIT [단축키 : PE] 명령 실행 순서 명령 창에 PEDIT 또는 단축키 PE를 입력 후 실행 ☞ 수정할 폴리선 선택 ☞ 폭(W) 선택 후 실행 ☞ 폭 지정 후 실행 명령 실행방법 폴리선 수정 명령어인..

동력 전달용 기계요소

기계요소 설계 핵심요약 - 동력 전달용 기계요소 동력 전달용 기계요소 축 축의 정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며 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계요소를 말한다. 축의 종류 축의 종류 설 명 차 축 자동차나 철도차량 등에 쓰이는 축으로 중량을 차륜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축 스핀들 주로 비틀림 작용을 받으며, 모양이나 치수가 정밀하고 변형량이 작은 짧은 회전축으로 공작 기계의 주축에 사용하는 축 플렉시블 축 고정되지 않은 두 개으 서로 다른 물체 사이에 회전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축 크랭크 축 증기 기관이나 내연 기관등에서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는 기능을 하는 축 직선 축 직선형태의 동력전달용 축 축의 굽힘 모멘트를 구하는 식 Mb : 굽힘 모멘트 σb : 굽힘 응력 Z : 축의 단면 형상 계수 d ..

PLINE - 폴리선

오토캐드 배우기 - PLINE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명령어는 폴리선(PLINE)입니다. 폴리선(PLINE)은 다양한 기능으로 도면에서 감초 역할을 하는 기능 중에 하나입니다. 생성된 모습은 일반 LINE과 큰 차이는 없지만 성능과 기능면에서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가장 큰 장점으로는 선의 두께를 지정해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직선과 호를 병행해가면서 계속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이런 기능들이 가능한 것은 폴리선 (PLINE)은 연속해서 그려진 객체는 하나의 선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객체의 성격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아래 [그림 1]과 같이 차이점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 도면에서 보시는 것과 마찬가지로 일반 선은 연속해서 도면을 그린다고..

결합용 기계요소

기계요소 설계 핵심요약 - 결합용 기계요소 결합용 기계요소 키 키의 정의 서로 다른 기계들을 연결해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계요소 키의 종류 및 특징 키의 종류 키의 형상 특 징 안장 키 (새들 키) - 축에는 키홈을 가공하지 않고 보스에만 키홈을 파서 끼운 뒤 축과 키 사이의 마찰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키로 작은 동력의 전달에 적당하다. 평 키 (납작 키) - 축에 키의 폭만큼 편평하게 가공한 키로 안장 키보다 큰 힘을 전달한다. - 축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1/100 기울기를 붙이기도 한다. 반달 키 - 반달 모양의 키로 키와 키홈을 가공하기 쉽고 보스의 키 홈과의 접촉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이점이 있으나 키 홈이 깊어 축의 강도가 약하다. 성크 키 (묻힘 키) - 가장 널리 쓰이..

STRETCH - 객체 늘이기

오토캐드 배우기 - STRETCH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뤄볼 명령어는 객체 늘이기(STRETCH)라는 명령어입니다. 객체를 그리다 보면 실수로 또는 수정사항이 생겨서 기존 객체의 치수가 변경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오토캐드의 STRETCH 기능을 모른다면 어떻게 될까요? 아마 다시 그리거나 온갖 아는 명령어를 동원해서 다시 재 작도를 하시게 될 겁니다. 실제로 제가 회사생활을 하면서 STRETCH기능을 몰라 도면을 다시 그리고 있는 후배들을 심심치 않게 봐왔습니다. STRETCH기능을 알고 있는 사용자라면 아마도 1분~5분 사이에 수정사항이 완료가 되겠지요. 하지만, 모르는 사용자는 도면을 다시 그려야 하기에 적게는 10분에서 많게는 야근을 해야 하는 상황까지 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