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요소 설계 핵심요약 - 하중의 종류 / 결합용 기계요소
하중의 종류
종 류 | 특 징 | |
정하중 | - 하중이 정지 상태에서 가해지며 크기나 속도가 변하지 않는 하중 | |
동하중 | 반복하중 | - 하중의 크기과 방향이 같은 일정한 하중이 반복되는 하중 |
교번하중 | - 하중의 크기와 방향이 변화하면서 인장과 압축하중이 연속 작용하는 하중 | |
충격하중 | - 하중이 짧은 시간에 급격히 작용하는 하중 | |
집중하중 | - 한 점이나 지극히 작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하중 | |
분포하중 | - 넓은 범위에 분포하여 작용하는 하중 |
응력의 종류
인장응력 | - 물체 내 임의의 면에서 양쪽 부분에 수직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할 때, 그 반작용으로 물체 내에 생기는 분포 내력. |
![]() |
압축응력 | - 압축 하중에 의하여 생기는 응력. 단위 면적당 하중으로 나타낸다. |
![]() |
전단응력 | - 물체의 어떤 면에서 어긋남의 변형이 일어날 때 그 면에 평행인 방향으로 작용하여 원형을 지키려는 힘. |
![]() |
굽힘응력 | - 빔의 한쪽은 고정하여 놓고 다른 한쪽을 당겨 올리거나 밀어 내리려 할 때 발생하는 응력. |
![]() |
비틀림응력 | - 비틀림이 일어날 수 있는 힘에 대하여 표면에 발생하는 힘. 이를 측정하는 방법은 토크를 측정하는 원리와 유사한데, 전동기의 프로펠러 샤프트에 의해 비틀림의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
![]() |
열응력 구하는 식 | σ = E x ε = E x α x (t2 - t1) |
σ = 열응력 (N/㎟) E = 세로탄성계수 (N/㎟) α = 선팽창계수 (계수/℃) |
압축응력 구하는 식 | ![]() |
인장응력 구하는 식 | ![]() |
허용저단응력 구하는 식 | ![]() |
압력용기 원주방향 응력 구하는 식 | ![]() |
압력용기 축 방향 응력 구하는 식 | ![]() |
P : 작용 하중이나 압력 D : 안지름 t : 판의 두께 |
펀칭작업에 의한 전단응력 구하는 식 | ![]() |
F : 전단력 A : 힘을 가해야 하는 단면적 |
핵심문제
01. 단면적이 100㎟인 강재에 300N의 전단 하중이 작용할 때 전단응력은? [2013년 4회 - 기출]
① 1
② 2
③ 3
④ 4
정답 : ③
01 - 해설.
- 허용 전단응력 구하는 식
여기서 F = 작용힘(kgf) , A = 단면적(㎟)
그러므로 대입을 해서 풀이를 해보면
02. 하중 3,000N이 작용할 때, 정사각형 단면에 응력 30N/㎠이 발생했다면 정사각형 단면 한 변의 길이는 몇 mm인가? [2013년 5회 - 기출]
① 10
② 22
③ 100
④ 200
정답 : ③
02 - 해설.
- 압축응력 구하는 식
결합용 기계요소
나사
나사의 정의 | - 결합부의 모양이 나선형의 모양인 기계요소로 물체를 고정시킬 때 사용한다. |
나사의 종류 및 특징
명 칭 | 용 도 | 특 징 |
삼각나사 | 기계 조립 | - 미터계 나사 - 나사산의 각도 60도 - 나사의 지름과 피치를 mm로 표시한다. |
![]() |
||
정밀기계 조립 | - 인치계 나사 - 나사산의 각도 60도 - 미, 영, 캐나다 협정으로 만들어져 ABC나사라고도 한다. |
|
![]() |
||
유체기기 결합 | - 인치계 나사 - 나사산의 각도 55도 - 관용평행 나사 : 유체기기 등의 결합에 사용한다. - 관용테이퍼 나사 : 기밀유지가 필요한 곳에 사용한다. |
|
![]() |
||
사각 나사 |
동력전달용 | - 프레스 등의 동력전달용으로 사용한다. - 축방향의 큰 하중을 바대는 곳에 사용한다. |
![]() |
||
사다리꼴 나사 | 공작기계의 이송용 | - 나사산의 각도 30도 - 애크미 나사라고도 불린다. |
![]() |
||
톱니 나사 | 힘의 전달 | - 힘을 한 쪽 방향으로만 받는 곳에 사용한다. - 바이스, 압착기 등의 이송용 나사로 사용한다. |
![]() |
||
둥근 나사 | 전구나 소켓 | - 나사산이 둥근 모양 - 너클 나사라고도 불린다. - 먼지나 모래 등이 많은 곳에 사용한다. - 나사산과 골이 같은 반지름의 원호로 이은 모양이다. |
![]() |
||
볼 나사 | 정밀공작기계의 이송장치 | - 나사축과 너트 사이에 강재 볼을 넣어 힘을 전달한다. - 백래시를 작게 할 수 있고 높은 정밀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효율이 가장 좋다. |
![]() |
핵심문제
03. 다음 나사 중 백래시를 작게 할 수 있고 높은 정밀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효율이 가장 좋은 것은? [2012년 1회 - 기출]
① 사각 나사
② 톱니 나사
③ 볼 나사
④ 둥근나사
정답 : ③
03 - 해설.
- 볼 나사는 나사 축과 너트 사이에 강재의 볼을 넣어서 동력을 전달하는 나사로 선반이나 밀링 기계에 적용되어 백래시를 작게 할 수 있어 높은 정밀도를 갖게 한다.
04. 3줄 나사, 피치가 4mm인 수나사를 1/10 회전시키면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몇 mm인가? [2013년 5회 - 기출]
① 0.1
② 0.4
③ 0.6
④ 1.2
정답 : ④
04 - 해설.
- 나사의 리드 : 나사를 1회전 시켰을 때 축 방향으로 진행한 거리.
나사의 리드(L) = nP(mm) = 3x4 = 12mm
P : 피치 / n : 나사의 줄 수
이동한 거리는 12mm x 0.1 = 1.2mm
아이고~~~ 머리 아프다~~ 그렇죠?
계산식은 기능사에서 몇 개 안되지만 그래도 생소하면 어렵기 마련입니다.
한 번에 다 외우려고 하지 마시고 하나의 공식이라도 제대로 이해하고 넘어가시길 추천드립니다.^^
다음 포스팅은 키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하루하루 행복하세요~^^
'기계자격증 이론 핵심요약 > 기계재료 및 요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력 전달용 기계요소 (12) | 2020.06.04 |
---|---|
결합용 기계요소 (8) | 2020.06.03 |
기계설계 기초 (12) | 2020.06.01 |
표면 경화법 (9) | 2020.05.31 |
열처리의 정의 및 특징 (6) | 2020.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