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34

아두이노 소프트웨어 설치 방법 (통합개발환경 - IDE)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지난 포스팅까지 하드웨어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번 포스팅은 소프트웨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아두이노에 있어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연결은 어디서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인지 코드 업로드와 관련된 과정을 살펴본 후 코드의 구성을 순서대로 살펴보겠습니다. PC 운영체제인 Windows가 PC와 사람 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면, 아두이노 IDE는 PC와 아두이노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합니다. 작성된 소프트웨어(스케치) 업로딩, 결과 확인, 하드웨어 연결 설정 등 아두이노와의 연결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아두이노 하드웨어는 연결통로로 이어져 들어온 소프트웨어의 명령을 충실히 이행합니다. 항 목 역 할 Windows OS 컴퓨터(PC) - 사람 간 ..

아두이노의 전원 및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내용은 아두이노의 전원부 인터페이스와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사람이 밥을 먹어야 살 수 있듯이 전자기기도 전원이 있어야 동작을 합니다. TV, 라디오, 장난감 완구, 리모컨 등 완성품 수준의 전자기기들은 가정용 220V 전원을 사용하는 AC-DC 어댑터를 쓰거나, 소형 건전지를 통해 동작합니다. 또는 별도 배터리를 내장하여 충전식으로 작동하기도 합니다. 개발 단계에서부터 어떤 전원을 적용할지 고민해야 하며, 개발과정에서 단계별로 사용할 수 있는 전원도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인터페이스의 정의와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과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전원 인터페이스 아두이노의 전원 공급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로 나..

아두이노 부품 (헤더 핀 - 헤더 소켓 / 점퍼선 / 커넷터 소켓)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두이노 전자회로 내에서 사용되는 주요 부품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소자들도 전자부품의 일종으로 통칭할 수 있으나, 전자적인 기여가 있는 것은 소자로,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부품으로 분류하였습니다. 부품에는 어떤 점과 점을 전기적으로 이어주는 와이어나 특정 규격의 커넷터, 소켓 등이 있습니다. ■ 헤더 핀 - 헤더 소켓 아두이노 우노는 헤더 소켓이 조립되어 출시되는 형태이지만, 프로 미니, 나노 등은 보드와 헤더 핀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사용자가 헤더 핀을 보드에 일일이 납땜하여 사용해야 하는 구조입니다. 이와 같이 헤더 핀은 보드, PCB, 만능기판 등에 납땜으로 고정하기 위한 부품으로 일렬로 붙어 있는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헤더 소켓..

소자 부품 (트랜지스터, DIP소자와 SMD소자, 가변저항)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소자 부품을 이어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저항과 다이오드, 커패시터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랜지스터와 DIP소자, SMD소자, 가변저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는 Transit Resistor란 뜻으로, 저항값이 변하는 성질을 통해 스위치, 증폭기로 활용됨을 의미합니다. 트랜지스터는 크게 BJT와 FET로 나뉘며 모두 세 개의 핀이 달려 있습니다. BJT는 전류로 제어되는 소자이고, FET는 전압으로 제어되는 소자입니다. 아두이노와 주변회로를 다루는 데 잇어서 BJT 정도만 짚고 넘어가도 무방하며 특히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랜지스터의 물리적 구성, 동작 원리를 다루지 않고 회로 내에서의 역할에만 ..

소자 부품 (저항, 다이오드, 커패시터)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자 부품인 저항, 다이오드, 커패시터, 트랜지스터, 가변저항 중 저항, 다이오드, 커패시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아두이노에 빠져서 재미있게 배우고 있는데 3D프린터와 접목이 된다면 정말 유용한 부분이 될 것 같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아두이노를 배우고 나서 꼭 3D프린터와 접목시켜 좀 더 퀄리티 있는 완성품으로 포스팅 하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 소자 부품 : 저항, 다이오드, 커패시터 Blink 예제와 같이 아두이노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의 예제와 사례들은 아두이노와 함께 주변회로를 구성해주어야 합니다. 소자란 아두이노를 보조하거나, 아두이노와 제어명령을 주고받을 수 있는 구성품들을 통칭하는 말이며, 시제품의 기능과 ..

아두이노 브레드 보드와 만능기판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생소한 용어인 브레드 보드와 만능기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처음에 브레드 보드라고 해서 빵처럼 생긴 보드인가 했습니다. 생긴 모양만으로 봐서는 전혀 빵처럼 생기지 않았는데 왜 브레드 보드인지 아직도 의문입니다. 일단, 용어는 용어이니 생소하면 익숙해져야 겠지요. 그럼 이번 포스팅 내용인 아두이노 브레드 보드와 만능기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전자 소자와 주요 부품 아두이노를 활용한 어떤 시제품을 만들기로 마음 먹었다면 아두이노 보드와 함께 필요한 전자부품을 활용하는 일은 필수적입니다. 시제품을 만들고 구현하는 데 있어서 아두이노 홀로는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아두이노를 다루기 위해 전자부품에 관한 이야기를 하자면 어디서부터 ..

인두기와 납땜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학창시절에 누구나 한 번쯤 해보셨을 인두기 사용과 납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기술시간 실납을 가지고 회로판에 인두기를 이용해서 납땜을 하면 납이 타는 냄새 때문에 그리 좋았던 기억은 없지만 납땜을 통해 어떤 물체가 움직이거나 불이 켜지는 것을 보면 신기하기도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다시 기억을 더듬어 이번 포스팅을 보시면서 추억을 되새김질 해보시기 바랍니다. ■ 인두기 아두이노 우노를 배우는 초기에는 인두기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 브레드 보드와 점퍼선으로 대부분 배선작업을 해결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개발이 진척되고 만능기판이나 PCB 등에 조립을 해야 할 때 즈음이면 인두기의 필요성이 절실해집니다. 양산을 위해 외주개발이나 SMT공장에 간..

멀티미터(테스터기, 전기 테스터기, 디지털 멀티미터) 측정방법 및 저항띠 읽기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측정기라고 하는 멀티미터(테스터기, 전기 테스터기, 디지털 멀티미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계만 다루던 제가 테스터기라고 한다면 경도측정기 같은 테스터기만 다뤄 보고 전기, 전자관련 측정기는 보기만 해봤는데 직접 배우고 나니 살짝 신기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에 판매되고 있는 테스터기 가격을 보니 만만치 않더군요. 구매는 생각좀 해봐야 겠습니다. 그렇다면 멀티미터는 어떤 것이 있고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멀티미터 멀티미터는 테스터기, 전기 테스터기, 디지털 멀티미터 등의 이름으로 다양하게 불리는 전기 계측기입니다. "멀티"미터란 이름만큼 측정할 수 있는 값과 범위, 기능이 다양한데 대체로 전압과 전류, 저항, 그리..

아두이노 기초 회로 (직렬회로와 병렬회로)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물통을 예를 들어 전압, 전류, 저항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학창시절에 배운 내용이라 크게 어려움 없이 배운 것 같습니다. 최대한 쉽게 설명을 드리려 하고 있으니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끝까지 함께 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회로에 대해 알아볼 예정인데 회로는 제가 공부하면서도 기호와 용어 때문에 많이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그래도 제가 공부한 내용을 아는 한도 내에서 쉽게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기초 회로 지난 포스팅에서 알아 본 전압, 전류, 저항을 토대로 그것들을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직렬 회로 "직렬"이란 일렬로 나란히 연결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한 부품의 꼬리가 다른 부품의 머리..

아두이노의 기초 전압과 전류, 저항

안녕하세요. 메카럽입니다. 기계만 생각하던 제가 요즘 아두이노라는 것을 공부하다보니 새로운 신세계를 보게 되었습니다. 학창시절 기술시간에 배웠던 전기에 대해 배우고 있으니 옛날 생각도 나서 재미있게 배우고 있습니다. 요즘 나온 아두이노는 남녀노소 누구나 접근이 가능할 수 있도록 쉽게 되어 있어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충분히 3D프린터와 적용이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러분들도 관심있으신 분들은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두이노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전압과 저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한 전기와 전자 아두이노나 회로를 작동하려면 기본적으로 전원이 필요합니다. 영문으로는 Power 또는 Power Source 정도로 쓰입니다. 말 그대로 전자부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힘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