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치와 함께하는 슬기로운 기계생활 1729

3D프린터 장비 출력 설정

프린터별출력 방법 확인 FDM방식(FFF방식) 가열된 노즐에 필라멘트 형태의 열가소성 수지를 투입하고, 투입된 재료들이 노즐 내부에서 가압되어 노즐 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형식으로 플라스틱 재료를 녹여 노즐을 통해 압출하기 때문에 조형 공정 특성상 열가소성 재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압출 후 노즐 출구의 단면과 유사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재료에 대부분 적용 가능하며 압출 노즐에서 토출되는 재료는 압출 헤드와 성형판 사이의 상대 운동에 의해 각 단면 형상이 만들어지고 이 작업이 모든 층에 반복 및 적층되어 3차원 형상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대부분의 재료는 노즐을 통해 압출될 수 있도록 액체 상태나 유사한 상태로 토출되며, 토출된 후 형태가 변화하지 않습니다. 성형하려는 제품의 단면 형상이 만들어지고 재료가..

용접의 제도와 배관 제도 핵심 요약

용접의 제도 용접의 정의 용접이란 접합하고자 하는 2개 이상의 물체나 재료의 접합 부분을 용융 또는 반 용융 상태에서 용가재(용접봉)를 첨가하여 접합하거나, 접합하고자 하는 부분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후 압력을 가하여 서로 접합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따라서 용접은 금속의 접합면이 접착되어 완전히 밀착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이상적인 금속 밀착을 얻으려면 접합부를 가열해 용융하거나 용융 금속을 첨가하거나 기계적 압력을 가하는 등의 야금적 조작이 필요하다. 용접법은 이 같은 조작 중 어느 방법을 사용해 접합 목적을 달성하느냐에 따라 금속학적으로 크게 용접, 압접, 납땜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용접(야금적 접합법)과 기타 금속 접합법과의 차이점 구분 종류 장점 및 단점 야금적 접합법 용접 (융접, 압..

3D프린터 데이터 준비

데이터 업로드 방법 데이터 전송 방식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컴퓨터가 직접 3D프린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이동식 저장소(SD카드, USB등)와 같은 보조 장치에 저장하여 직접 3D프린터에 데이터를 연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설계 프로그램들은 STL파일을 제공하므로 출력하고자 하는 파일을 STL파일 형식으로 저장하고 3D프린터 회사마다 지원하는 3D프린터 파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들이 있어 각 프로그램에서 STL파일을 실행하고 3D프린터에 맞게 설정하면 3D프린터로 출력이 가능합니다. 3D프린터용 파일변환 3D프린팅은 CAD 시스템에서 모델링된 3차원 형상을 2차원 단면으로 분해, 적층하여 다시 3차원 형상을 얻게 되므로 3차원 제품 제작을 위해서는 슬라이싱에 의한 2차원 단면 데이터가 필..

스프로킷 휠 제도와 스프링 제도 핵심 요약

스프로킷 휠의 제도 스프로킷 휠의 호칭 번호 스프로킷 휠은 체인을 감아 물로 돌아가는 바퀴로 그 호칭 번호는 스프로킷에 감기는 전동용 롤러 체인의 호칭 번호로 한다. 스프로킷 휠의 도시 방법 도면에는 주로 스프로킷 소재의 제작에 필요한 치수를 기입하며 호칭 번호는 스프로킷에 감기는 전동용 롤러 체인의 호칭 번호로 한다. 표에는 이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사항과 이의 절삭에 필요한 치수를 기입하고 축 직각 단면으로 도시할 때는 톱니를 단면으로 하지 않으며 이 뿌리선은 굵은 실선으로 한다. 바깥지름은 굵은 실선, 피치원 지름은 가는 1점 쇄선, 이뿌리원은 가는 실선이나 굵은 파선으로 그리며 생략도 가능하다. 스프로킷 휠의 기준 치형 S치형과 U치형의 2종류 중에서 S치형이 많이 쓰인다. 핵심 문제 01. 스프..

3D프린터 모델 슬라이싱하기

제품의 형상 분석 형상 설계 3D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차원 형상물을 설계하는 것을 형상 설계라고 합니다. 이러한 형상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는데 첫 번째로 사용자가 어떤 방식으로 설계함에 따라서 3D프린팅 제품의 품질이 결정되며 두 번째는 3D프린터의 종류, 방식에 따라 나타나는 오차 및 제품의 치수 오류가 나타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하는 3D프린터의 특징 및 오차 범위를 알아야 합니다. 3D프린터에 따른 형상 설계 오류 3D프린터로 제품을 제작할 때 프린팅 방식에 따라 형상 설계 오류를 고려해야 합니다. FDM방식의 프린터는 최대 정밀도가 0.1mm 정도로 정밀도가 좋지 않으므로 설계할 때 정밀도보다 작은 치수를 표현할 수 없습니다. SLA방식은 광경화 방식으로 정밀도가 최대 1..

베어링 제도와 벨트 풀리 제도 핵심 요약

베어링의 제도 베어링의 호칭 방법 베어링의 안 지름 번호는 1자리 숫자일 경우는 1~9는 그대로 1~9mm를 의미하며, 00은 10mm, 01은 12mm, 02는 15mm, 03은 17mm이고 04부터는 뒷 두 개 자리 숫자 곱하기 5를 하면 그 수치가 안 지름이 된다. 그리고 안지름이 500mm 이상일 경우는 그대로 기록한다. 형식번호 - 1 : 복렬 자동조심형 - 2, 3 : 상동(큰 너비) - 6 : 단열홈형 - 7 : 단열앵귤러콘텍트형 - N : 원통 롤러형 치수기호 - 0, 1 : 특별 경하중 - 2 : 경하중형 - 3 : 중간형 안지름번호 - 1~9 : 1~9mm - 00 : 10mm - 01 : 12mm - 02 : 15mm - 03 : 17mm - 04 : 20mm 04부터는 5를 곱한다...

3D프린터 출력 보조물 (서포트) 설정하기

출력 보조물의 필요성 판별 지지대의 개념 3D프린터로 제품을 출력할 때 필요한 바닥 받침대와 형상 보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서포트(Support)'라고도 합니다. 또한, 제품을 출력할 때 적층되는 바닥과 제품이 떨어져 있을 경우 이를 보조해주는 지지대를 형상 보조물이라고하며 제품의 출력 시 적층되는 바닥과 제품을 견고하게 유지시켜 주는 지지대는 바닥 받침대(브림)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3D프린터는 바닥에서부터 출력물을 차곡차곡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출력물이 바닥에 닿는 면적이 다른 부분에 비해 넓을수록 안정감이 있으며 디자인에 따라 아래쪽이 좁고 위쪽이 넓은 출력물이라면, 서포트 설정을 통한 지지대가 필요하게 됩니다. 지지대가 필요한 이유 3D프린팅은 제작 방식에 따라 제작의 오차 및 오..

축의 제도와 기어의 제도 핵심 요약

축의 제도 축의 도시 방법 - 긴 축은 중간을 파단하여 짧게 그릴 수 있다. - 축의 키 홈 부분의 표시는 부분 단면도로 나타낸다. - 축의 끝은 모따기를 하고 모따기 치수를 기입한다. - 축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을 도시하지 않는다. - 축의 일부 중 평면 부위는 가는 실선으로 대각선 표시를 한다. - 축의 구석 홈 가공부는 확대하여 상세 치수를 기입할 수 있다. - 축의 끝에는 조립을 쉽고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 모따기를 한다. - 긴 축은 중간 부분을 파단하여 짧게 그리고 실제 치수를 기입한다. - 축 끝의 모따기는 폭과 각도를 기입하거나 45˚인 경우 C로 표시한다. - 널링을 도시할 때 빗줄인 경우 축 선에 대하여 30˚로 엇갈리게 그린다. 테이퍼 표시방법 중심선 위에 직접 기입하는 경우와..

3D스캐너 대상물 스캔

스캐닝 준비 단계 스캐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스캐닝의 방식, 측정 대상물의 크기 및 표면, 적용 분야(고정밀 산업용 혹은 일반용)등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대상물의 표면 상태별 스캐너 일반적인 라인 레이저 방식에서는 레이저가 측정 대상물의 표면에 잘 주사가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레이저 스팟이 잘 생성되는 피측정물을 준비합니다. 측 CCD, CMOS방식 카메라에서 측정 대상물의 표면에 맺힌 레이저 스팟이 잘 읽여야 합니다. 레이저가 잘 주사되지 않는 표면을 가진 대상물의 경우 3D스캔 시 스캔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는데 측정 대상물의 표면이 투명할 경우에는 레이저 빔 투과로 표면에 레이저 스팟이 생기지 않으며 측정 대상물에 전반사가 일어날 경우에는 정확한 레이저 스팟 측정이 어렵습니다. 또한..

볼트와 너트, 키, 핀, 리벳, 코터의 제도 핵심 요약

볼트 및 너트의 제도 너트의 종류 둥근 너트 : 겉모양이 둥근 형태의 너트. 육각 너트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너트. T 너트 : 공작기계 테이블의 T자 홈에 끼워 공작물을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너트. 사각 너트 : 겉모양이 사각형으로 주로 목재에 사용하는 너트. 나비너트 : 너트를 쉽게 조일 수 있도록 머리 부분을 나비의 날개 모양으로 만든 너트. 캡 너트 : 유체가 나사의 접촉면 사이의 틈새나 볼트와 볼트 구멍의 틈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너트. 와셔붙이(플랜지) 너트 : 육각의 대각선 거리보다 큰 지름의 자리면 달리 너트로 볼트 구멍이 클 때, 접촉면을 거칠게 다듬질했을 때나 큰 면 압력을 피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너트. 스프링 판 너트 : 보통의 너트처럼 나사 가..